*정경(丁經, Claudio Jung)(www.claudiojung.com)

바리톤 성악가. 오페라와 드라마를 융합한 ‘오페라마(Operama)’를 창시했으며, 예술경영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사)오페라마 예술경영연구소(www.operama.org) 소장으로 한세대학교 예술경영학과에 재직 중이다. 저서 ‘오페라마 시각(始覺)’.

▲ 오페라마 예술경영연구소 정경 소장

부모님과 마주 앉은 자리에서 이런 말씀을 드린 적이 있다.

“저는 이 집안의 장남인 동시에 관객들의 광대입니다. 만일 제가 저에게 주어진 두 역할 중 하나를 골라야 한다면, 저는 주저 없이 관객의 광대일 수밖에 없음을 양해해주셨으면 합니다.”

가까운 이의 부고를 듣고도 미리 잡혀 있는 무대나 방송 스케줄을 소화한 뒤에야 장례식에 참석하게 되는 예술인들의 이야기는 언제 들어도 숙연해진다. 어쩌면 불효로, 혹은 만용으로 비칠 수 있었던 나의 선언은 예술인으로서의 출사표였다.

일상적이고 평범한 가정생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동시에 지순하게 예술을 추구할 수는 없다. 혹자는 일상과 예술혼의 공존이 가능하다고 말하지만 이는 또 다른 형태의 자만일 뿐이다.

우리 광대들의 무대 위 화려함은 무대 아래에서의 고뇌와 외로움, 배고픔, 슬픔과 같은 그림자를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광대는 나 자신이 아닌 관객을 위해 살며 관객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치는 사명을 띤다.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킨 뒤 여력을 예술에 바치는 것은 관객, 나아가 예술 자체에 대한 모독이나 다름없다.

여러 모임에서 예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이들의 푸념을 종종 듣는다.

“나는 이만큼 예술인으로서의 스펙을 쌓았는데 왜 그에 합당한 무대나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것일까?”, “왜 세상은 나를 충분히 알아주지 않는가?”, “삶은 불공평하다”와 같은 원망과 좌절이다.

나는 이러한 표현들이야말로 예술가로서 결코 입 밖으로 꺼내지 말아야 할 금기어라고 생각한다. 예술가는 시대를 선도하고 사회의 기운을 만들어가야 하는 사명을 가진다.

시대를 원망하고 사회를 원망하는 예술가는 시대와 사회를 쫓아가려 할 뿐, 그 모든 난관을 극복할 수 있는 역량이 자신에게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셈이다. 쉽게 말해 예술가로서 자신의 ‘격’이 그것밖에 되지 않는다고 인정하고 공표하는 것과 같다.

난관과 결핍은 누구에게나 존재한다. 그리고 예술인이 예술인으로 불릴 수 있는 이유는 그와 같은 결핍에 좌절하거나 무릎 꿇지 않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포기하는 지점에 우뚝 서서 예술혼을 발휘하기에, 그리하여 새로운 가치와 작품을 창조해내기에 예술인은 비로소 무대 위에서 빛날 자격을 얻는다.

예술가가 눈코 뜰 새 없이 바쁘다는 것은 곧 축복이다. 공연을 위해 뛰어다니는 동안 부족한 수면과 공복은 예술인으로서 누릴 수 있는 사치이자 행복이다. 관객들의 웃음과 박수, 찬사는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지복이다.

출사표를 던졌던 그 날, 부모님의 서운함 가득한 얼굴을 잊을 수가 없다. 마음 깊이 간직한 부모님의 그늘과 관객들의 웃는 얼굴을 맞교환함으로써, 나는 그렇게 예술가로서의 숙명을 받아들였다.

모든 것을 내던지고 뛰어든 길에 후회란 존재하지 않는다. 무대 위에서 살고 무대 위에서 죽어야 하는 광대에게는 후회라는 단어를 떠올리는 것조차 기력의 낭비이며 관객에 대한 무례다.

나를 비추는 수많은 조명과 쏟아지는 시선들에 보답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관객을 위해 모든 혼을 바치는 것뿐. 광대는, 결코 지칠 수 없다.

*본 칼럼은 국제뉴스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